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타스 카라만리스는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아테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신민주주의당에서 활동하며 1997년 당 대표로 선출되었고, 2004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출생한 최초의 그리스 총리가 되었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교육, 경제, 농업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했으나,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준비 과정의 문제, 2007년 산불, 경제 위기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2009년 총선에서 패배한 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변호사 - 에반겔로스 베니젤로스
에반겔로스 베니젤로스는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범헬라스 사회주의 운동 소속 국회의원, 다양한 정부 직책을 역임했으며, PASOK 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후 PASOK과 KINAL을 탈퇴했다. - 그리스의 변호사 -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1888년)
요르요스 파판드레우는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자유주의 정치인 지지, 장관직 역임, 망명 정부 총리, 중도 연합 창당 등의 활동을 했으며, 민주주의 옹호와 교육 개혁에 기여한 인물이다. - 아테네 대학교 동문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그리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는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을 창당하여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복지 확대, 독립 외교를 추구했으나, 경제난과 부패 스캔들로 비판받기도 하며 그리스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테네 대학교 동문 - 니코스 카잔차키스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20세기 그리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다양한 사상적 영향을 받아 인간의 자유, 실존적 문제, 종교적 갈등 등을 다룬 소설 《그리스인 조르바》 등을 집필했으며, 여러 차례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다.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 |
로마자 표기 | Kostas Karamanlis |
직책 | |
그리스 총리 | 재임 시작: 2004년 3월 10일 재임 종료: 2009년 10월 6일 대통령: 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 대통령: 카롤로스 파풀리아스 이전: 코스타스 시미티스 다음: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
문화부 장관 | 재임 시작: 2004년 3월 10일 재임 종료: 2006년 2월 15일 총리: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본인) 이전: 에반겔로스 베니젤로스 다음: 요르요스 불가라키스 |
신민주주의당 대표 | 재임 시작: 1997년 3월 21일 재임 종료: 2009년 11월 30일 이전: 밀티아디스 에베르트 다음: 안토니스 사마라스 |
야당 대표 | 재임 시작: 2009년 10월 6일 재임 종료: 2009년 11월 30일 대통령: 카롤로스 파풀리아스 총리: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이전: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다음: 안토니스 사마라스 재임 시작: 1997년 3월 21일 재임 종료: 2004년 3월 10일 대통령: 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 총리: 코스타스 시미티스 이전: 밀티아디스 에베르트 다음: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
의회 의원 | 재임 시작: 1989년 6월 18일 재임 종료: 2023년 4월 22일 선거구: 테살로니키 A |
개인 정보 | |
본명 | Konstantinos Karamanlis |
출생일 | 1956년 9월 14일 |
출생지 | 아테네, 그리스 |
거주지 | 테살로니키 |
정당 | 신민주주의당 |
배우자 | 나타사 파자이티(1998년 결혼) |
자녀 | 2명 |
학력 | 아테네 대학교 터프츠 대학교 |
친척 |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삼촌) 코스타스 카라만리스(사촌) |
2. 생애 및 학력
1956년 9월 14일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아테네 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한 후, 미국의 터프츠 대학교 플레처 법률 외교 대학원에서 대학원 교육을 받고, 국제 관계론과 외교사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
코스타스 카라만리스는 1989년 테살로니키에서 신민주주의당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1] 2004년에는 라리사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1] 1996년 신민주주의당이 선거에서 패배한 후, 1997년에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2004년 그리스 총선에서 집권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PASOK)을 꺾고 총리직에 올랐다.[1]
1989년 선거에서 숙부가 창설한 신민주주의당 소속으로 테살로니키 선거구에 출마하여 첫 당선되었다.[1]
3. 정치 경력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유럽 인민당 (EPP) 부회장을 역임했다.[1]
2007년 그리스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했지만, 2007년 그리스 산불 대응과 관련하여 비판을 받았다.[14] 2009년 총선에서 패배한 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3. 1. 신민주주의당 활동 및 당수 선출
코스타스 카라만리스는 1974년부터 1979년까지, 그리고 1984년부터 1989년까지 신민주주의당의 조직 및 이념 부서에서 활동했다.[2] 그는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에 관한 책,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와 그리스의 외교 관계, 1928-32''를 저술했으며,[2] 다양한 역사 출판물을 편집하고 서문을 썼다.
1989년 테살로니키에서 신민주주의당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고, 2004년에는 라리사에서 당선되었다. 1996년 선거에서 신민주주의당이 패배한 후 1997년에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2004년 그리스 총선에서 집권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PASOK)을 물리쳤다.
1999년부터 2006년까지 유럽 인민당 (EPP)의 부회장 중 한 명으로 재임했다.
3. 2. 총리 취임 (2004-2009)
코스타스 시미티스가 이끄는 PASOK 정부 (1981년부터 1989년까지, 1993년부터 2004년까지 집권)의 낮은 인기에 힘입어 신민주주의당 (ND)은 2004년 게오르기오스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가 이끄는 사회주의자들을 꺾고 정권을 잡았다.[3]
1989년 선거에서 숙부인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가 창설한 신민주주의당 소속으로 테살로니키 선거구에 출마하여 처음 당선되었다. 1997년 당이 전년도 총선거에서 패배한 후 당 대표로 선출되었으나, 2000년 총선거에서도 여당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PASOK)에 패배했다.
2004년 3월 7일 총선거에서 젊은 당수로서 신민주주의당을 승리로 이끌었고, 3월 10일 그리스 총리에 임명되었다. 그는 그리스에서 최연소이자 최초의 전후 출생 총리였다. 같은 해 5월 튀르키예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와의 회담에서, 튀르키예의 유럽 연합 가입을 지지한다고 발언했다.
2007년 총선에서도 지지율이 떨어졌지만 신승하여 정권을 유지했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제 위기의 영향 등으로 경제가 침체되고, 젊은이들의 폭동이 일어나는 등 사회 불안이 증대하여 지지율이 하락했다. 이 때문에 2009년 가을에 의회를 해산하고 국민에게 신임을 물었으나, PASOK에 패배하여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3. 2. 1. 주요 정책 및 성과
카라만리스 정부는 교육, 경제 정책, 농업 정책을 우선순위로 삼고, 실업률 감소와 더 투명하고 효율적인 국가 행정을 목표로 했다.[3] 경제 정책은 감세, 투자 유치, 민영화, 규제 완화에 집중했다.[3] 초기에는 공공 부채 (GDP의 약 112%)와 유로존 안정 규칙을 초과하는 예산 적자 (GDP의 5.3%) 등 문제가 있었지만, 2006년까지 예산 적자를 2.6%로 절반으로 줄였다.[3]
2004년 하계 올림픽 준비 과정에서 여러 주요 건물들이 완공되지 않았고, 보안 예산이 증가하는 등 차질이 발생했다.[3]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은 올림픽 개막 두 달 전에 완공되었고, 도시와 공항을 연결하는 노면전차 노선 등 다른 시설들도 개막 직전에야 대부분 완공되었다.[3] 그러나 준비 속도는 빨랐고, 결국 올림픽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연으로 인해 비용 초과가 발생하여 국가 계정에 EU 규정을 초과하는 적자가 발생했다.[3] 카라만리스는 이전 정부의 부실한 재정 운영을 비판하며, "사회 정책은 빌린 현금으로 이루어졌고, 군사비는 예산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부 부채는 비밀리에 조성되었다"고 주장했다.[4]
3. 2. 2. 재정 감사 및 논란
카라만리스 정부는 코스타스 시미티스 총리의 이전 PASOK 정부의 재정 통계 조작 의혹에 대해 재정 감사를 실시했다.[4] 감사 결과, PASOK 정부가 그리스의 거시 경제 통계를 조작하여 유럽 기관들이 그리스의 유로존 가입을 승인하도록 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PASOK는 이 혐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2006년 유로스타트의 국방 지출 계산 시스템 변경[6]이 자신들의 관행을 정당화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신민주주의는 이러한 변경으로 커버되는 국방 지출은 이전 PASOK 정부가 은폐한 더 큰 지출의 일부분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막대한 비용으로 인해 적자는 5.3%까지 치솟았으며, 카라만리스는 "사회 정책은 빌린 현금으로 이루어졌고, 군사비는 예산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부 부채는 비밀리에 조성되었다"고 비판했다.[4] 2004년 3월, 유로스타트는 그리스 정부가 제출한 재정 데이터를 승인하지 않고 수정을 요구했으며, 이는 2002년에도 두 차례 있었던 일이었다.
2004년 5월, 유럽 집행위원회는 그리스의 "신중하지 못한" 재정 정책을 비난하며,[5] 경제 성장이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연 4%였음에도 불구하고 재정 상황이 악화된 것은 정부의 관리 부실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위원회는 그리스 경제 데이터의 질에 의문을 제기했다.
3. 2. 3. 도청 사건
2006년 초,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총리의 휴대전화와 정부 및 군대 고위 관계자들의 휴대전화가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기간 및 이후 몇 달 동안 도청된 사실이 밝혀졌다.[13] 그리스 통신 사생활 보호 기구는 공개될 정보가 그리스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중단했다.
3. 2. 4. 2007년 재선 및 산불 대응 논란
2007년 총선에서 카라만리스는 서부 펠로폰네소스와 남부 에비아를 휩쓴 2007년 그리스 산불 이후 감소된 과반수로 재선에 성공했다.[14] 그는 개혁과 민영화 프로그램을 지속하고 새로운 내각을 구성할 것을 약속했다. 2007년 9월 19일, 그는 새로운 내각을 발표했다.[14]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총리는 2007년 그리스 산불 당시 대응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15] 수십만 에이커가 불에 타고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정부의 산불 대응에 대한 조사가 증가했다. 산불 발생 초기 며칠 동안, 화재를 진압하기에 적절한 소방 대응이 부족해 보이자, 정부는 이 과정이 자연적인 것이 아니고 방화범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3. 2. 5. 2009년 총선 패배 및 정계 은퇴
2009년 총선에서 카라만리스와 신민주주의당은 정권을 내놓게 되었다. 그는 신민주주의당 대표직 사퇴를 위한 선거가 끝난 후인 11월 30일에 사임했다.
4. 비판 및 논란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총리는 2007년 그리스 산불 당시 대응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15] 수십만 에이커가 불에 타고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정부는 산불 대응에 대한 조사에 직면했다. 산불 발생 초기, 화재 진압을 위한 적절한 대응이 부족해 보이자, 정부는 이것이 자연적인 현상이 아니라 방화범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2005년 7월 7일 런던 폭탄 테러 이후, 파키스탄인 남성들은 그리스와 영국의 정보 요원들에게 납치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리스, 파키스탄, 영국의 정부는 런던 7월 테러 이후 28명의 파키스탄인들을 아테네와 이오아니나에서 며칠 동안 억류했다는 의혹에 연루된 것을 부인했다. 이 사건을 담당한 검사는 납치범이 누구인지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말했지만, 주요 야당인 PASOK는 그리스 공공 질서부 장관 게오르기오스 불가라키스의 사임을 요구했다. 익명의 인권 단체 또한 이 혐의와 관련하여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총리의 사임을 요구했다.
카라만리스의 임기 동안, 그와 가장 가까운 장관들과 그의 당원들과 관련된 심각한 스캔들이 여러 건 발생하여 그의 공적 이미지를 훼손했다. 카라만리스는 2004년에 부패로부터 공공 생활을 "청산"하겠다는 약속으로 대대적으로 당선되었다.
카라만리스와 그의 내각에 대한 또 다른 비판은 경찰관의 총에 맞아 15세 알렉산드로스 그리고로풀로스가 사망한 후 시작된 2008년 그리스 폭동과 관련된 것이었다. 경찰은 그리고로풀로스가 차에 있던 몇몇 경찰관들에게 거친 언어를 사용한 4명의 십 대 그룹에 속해 있었다고 말했다. 한 경찰관이 기소되었고, 로이터 통신은 "그리스는 학생 집회에서의 폭력과 무정부주의 단체의 화염병 공격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국제 앰네스티는 신속한 조사를 촉구했다. 그리고로풀로스의 죽음은 주요 그리스 도시와 외국 도시에서 대규모 시위와 광범위한 폭동으로 이어졌다.
그가 퇴임한 후, 그리스의 많은 사람들은 카라만리스의 신민주당 정부를 경제적 어려움의 원인으로 계속 비난했다.[16] 금융 시장과 그리스의 EU 파트너들은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예산 적자를 과소평가했다며 이 나라를 질책했다.[17]
참조
[1]
웹사이트
Kostas Karamanlis
https://www.britanni[...]
2018-09-11
[2]
서적
o eleutherios venizelos kai oi exoterikes mas scheseis 1928–1932
Ekdoseis Papazisi
2006
[3]
뉴스
Olympics 'may cost Greece dear'
http://news.bbc.co.u[...]
BBC
2004-06-02
[4]
뉴스
Greek debt spirals after Olympics
http://news.bbc.co.u[...]
BBC
2004-09-12
[5]
뉴스
Greek budget mess earns EU rebuke
http://news.bbc.co.u[...]
BBC
2004-05-20
[6]
뉴스
Eurostat takes new decision on military expenditure
http://www.hri.org/n[...]
ANA
2006-10-03
[7]
서적
Ideologues, Partisans, and Loyalists Ministers and Policymaking in Parliamentary Cabinets
2016
[8]
뉴스
Greek economic woes spark strike
http://news.bbc.co.u[...]
BBC
2005-03-17
[9]
뉴스
Greek islands 'cut off' by strike
http://news.bbc.co.u[...]
BBC
2006-02-20
[10]
뉴스
Greece paralysed by strike action
http://news.bbc.co.u[...]
BBC
2006-03-15
[11]
뉴스
Greek unions hold national strike
http://news.bbc.co.u[...]
BBC
2005-07-26
[12]
뉴스
Health fears amid Athens strike
http://news.bbc.co.u[...]
BBC
2006-04-13
[13]
뉴스
Greek boss at phone-tapping probe
http://news.bbc.co.u[...]
BBC
2006-03-09
[14]
뉴스
Greek PM Karamanlis unveils new cabinet with several new faces
https://web.archive.[...]
2007-09-19
[15]
뉴스
A Political Crisis Brews in Greece as Fires Rag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8-27
[16]
뉴스
Opinion Polls On Measures
http://www.ana.gr/an[...]
2010-03-11
[17]
뉴스
Europe Weighs Possibility of Debt Default in Greece
https://www.nytimes.[...]
2010-01-29
[18]
뉴스
A Political Crisis Brews in Greece as Fires Rag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8-27
[19]
문서
아테네를 장악하지 못한 대립 정부의 수반.
[20]
문서
군사/독재 정권 수반.
[21]
문서
비상시 또는 과도 정부 수반.
[22]
문서
"[[추축국 점령기의 그리스|제2차 세계 대전 때 추축국이 그리스를 점령할 당시]](1941~1944) 점령군에 협조한 [[그리스국]]의 수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